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투자전략

공매도 부분 재개에도… 개인 대여가능 주식 전체의 0.00045%

입력 2021-09-19 12:25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163201816461469ef4edc6d
(사진=연합)

 

올해 5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부분 재개됐지만 개인 투자자가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대주물량)은 기관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대주물량은 1817주로, 전체 주식 약 4억 273만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00045%에 그쳤다. 나머지 약 4억273만 주가는 기관이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이었다.

주식 대여를 위해 올 상반기 신용대주서비스나 증권사의 차입서비스에 가입한 개인의 수는 약 1만 9000명으로,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린 기관의 수 4587개보다 더 많았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 기법으로, 그간 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져 불공평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용대주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 수를 6개사에서 17개사로 확대함과 동시에 대주물량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개인의 공매도 주문액은 2017년 2219억원에서 2018년 7668억원, 2019년 8886억원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개인의 공매도 주문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민형배 의원은 “공매도 제도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기관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에 대한 불만 때문에 불신이 큰 상황”이라면서 “금융당국은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로 불이익을 받지 않는 시장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