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원전 없이 전력공급 예비력 회복할 방법 있나

입력 2021-07-20 14:03 | 신문게재 2021-07-21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전력공급 예비력이 지난 주 10GW 밑으로 떨어졌다. 한반도 상공을 둘러싼 열돔(heat dome)으로 한 단계 강한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는 이때 예비전력은 안정권을 이탈해 있다. 중앙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에 냉방기 사용 중단 또는 자제를 권고해야 하는 처지다. 실내 온도 27도 이상 유지 기준은 통상의 에너지 절약 수준을 넘어선다. 이는 예비전력 회복이 다급해서다. 전력이 가장 부족한 7월 넷째 주,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사태) 우려까지 불거지는 배경이다.

 

산업 부문의 전력 수요도 늘고 있는데 공급 예비전력이 예년보다 일찍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주요 기업에도 수요 조절을 요청했다. 예비력을 수요로 나눈 백분율인 예비율이 10% 이상은 돼야 돌발 상황에 대처가 가능하다. 그런데 올 여름 전력수급 비상단계가 1~2단계까지 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 수급에 이처럼 비상이 걸린 것은 수요 예측이 잘못된 점도 있다. 근본적으로는 많이 써서라기 보다는 모자라서다. 냉방기를 끄거나 최소로 사용해 달라는 권고 이상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전력 위기의 최고 주범은 따로 있다.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 신한울 3·4호기 사업 추진 보류, 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 백지화, 월성 1호기 영구 폐쇄 등 지난 4년간의 브레이크 없는 탈원전 질주가 화근이었다. 원자력 기술을 사장시키는 것은 3세대 원자로 기술을 보유한 원전기술보유국으로서도 큰 손실이다.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인다가 에너지 수급 계획이 통째로 뒤틀려버린 것이 지금 보는 결과다. 대선 주자 중 2명은 문 정부의 탈원전 관련 수사에 대한 외압에 반발하거나 월성원전 1호기 경제성 조작 사건이 정치 참여 계기라고 밝히고 있을 정도다. 진위를 가리기 전에 탈원전 정책에 무리수를 뒀다는 뜻일 게다. 

 

현 단계에서는 블랙아웃을 막아 막대한 산업계 피해를 막는 게 우선이다. 2018년 삼성전자에서 30분 정전 사태로 수백 억원의 손실을 본 사례가 있다. 차제에 원천적이고 본원적인 문제, 원전을 빼고 탄소중립을 이룬다는 모순적인 상황부터 되짚어봐야 할 것 같다. 긴 안목으로 부작용을 흡수하면서 안전성과 경제성을 같이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 정상인데 그와 거꾸로 갔다. 

 

최대 전력 예상 주간인 이번 주가 첫 고비다. 공공과 민간을 구분하지 않고 전력난에 대비해야 한다. 정비를 마친 원전 추가 가동으로 공급력과 예비자원을 확보해 전력 수급 비상단계를 막는 게 급선무다. 결국 원전으로 풀어야 하게 생겼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