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생활경제 > 식음료 · 주류

코로나19, 식자재 비용 상승에 ASF까지...외식업계 '삼중고'에 운다

입력 2020-10-11 14:43 | 신문게재 2020-10-11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01011125546
롯데리아에서 토마토 수급 제한으로 인한 공지를 띄운 모습 (사진=롯데리아 홈페이지 캡처)

 

코로나19, 식자재 비용 상승에 이어 아프리카돼지열병(ASF)까지 다시 전파될 기미를 보이며 외식업계가 시름을 앓고 있다. 코로나19로 방문객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상황에서 채소류 상승이나 ASF로 원재료 상승 압박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보면 외식 등 개인서비스 물가는 전년대비 1.3% 오른 반면 채소류 가격은 전월(28.5%)에 이어 지난달에도 34.7%나 올랐다. 소매 원재료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지난달부터 강원 철원군, 화천군 등 양돈농가에서 ASF 의심증상의 돼지들이 잇따라 발견되며 국내 돼지고기 가격도 오를 수 있는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19 외식업 경영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식업체 평균 영업비용 1억 5458만원 중 식재료비는 5987만원으로 약 38.7%에 해당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식재료비 품목별 비율은 육류 27.4%, 곡류 20.2%, 채소 19.5%, 수산물 14.8% 순인데 최근 전체 식재료의 약 20%를 차지하는 채소류의 가격 상승이 외식업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되고 있다.

실제 토마토 가격 급등으로 버거킹, 롯데리아 등 일부 샌드위치 전문점에서는 토마토를 빼고 제품을 구성하거나 토마토를 뺀 제품 가격을 인하하고 있다. 롯데리아는 9월말부터 한우불고기버거, AZ버거 등 토마토가 들어가는 메뉴에서 토마토를 빼고 가격을 인하해 판매하고 있고 버거킹도 일부 햄버거 제품을 토마토 없이 야채 등을 보강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맥도날드 일부 매장에서도 토마토가 없이 제공되는 제품에 한해 음료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clip20201011142414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 현황 (자료=외식산업연구원)

 

대형 프랜차이즈가 아닌 소규모 외식업체의 타격도 크다. 외식산업연구원이 전국 외식업체의 식재료비 품목 비율과 전년 8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주요 업종의 식재료비가 전년 대비 8.2%~9.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 가격이 1% 대 상승폭을 기록한 동안 상당수의 식재료 비용 지출이 10% 가량 늘어난 것이다. 채소류 소매 가격 뿐 아니라 도매 식재료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다는 방증이다.

특히 외식업체에서 주로 사용하는 핵심 식자재 비용이 크게 올라 영업이익 하락이 불가피하다. 품목별로 보면 수해 이전과 8월을 비교할 때 상추는 129.8% 상승했고 애호박(70.9%), 배추(68.6%), 파(54.7%) 가격도 크게 올랐다. 육류 및 축산물 가격의 경우 한우 등심이 5.6%, 한우 안심은 4.9% 상승했고 특히 돼지고기 삼겹살은 17.7%로 대폭 올랐다.

국내산 식자재 뿐 아니라 외국산 고기 가격도 올랐다. 소고기를 중심으로 외식업체에서 육류 및 축산물 수입산 사용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 타격은 더 크다. 실제 미국산 갈비살(냉장)과 호주산 갈비(냉장)의 경우도 각각 22.9%, 21.7%로 20% 이상 큰 폭으로 상승했다.

외식산업연구원은 식재료비 상승률을 반영하면 올해 평균 영업이익률이 2018년 외식업 평균 영업이익률 11.4%에서 8.3% 수준으로 하락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식업체 입장에선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체적인 매출과 이익이 타격이 있는 상황에서 올여름 장마와 수해 등으로 원재료 가격 압박까지 이어지는 삼중고로 실질적인 순익이 줄어든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단순히 채소 가격안정제 등 기존 정책은 산지 채소 가격은 잡을 수 있지만 실질적인 도매 가격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기 때문에 식자재마트나 도매상을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외식업체들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외식산업연구원 한 연구원은 “농업인뿐만 아니라 외식업주와의 상생을 위한 중·장기적인 농산물 정책이 수립되길 바란다”며 “외식업체 식재료비 상승 관련 지원정책도 함께 고려돼야 하고 적극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첨언했다.

김승권 기자 peac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