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Leisure(여가) > 방송·연예

[비바100] 이번엔 뉴스 쪼개기…SBS 뉴스 유사중간광고 도입 논란

[트렌드 Talk] SBS '8시 뉴스' PCM 도입 논란

입력 2020-07-30 17:00 | 신문게재 2020-07-31 1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SBSNewsCPM
 

어느 때부턴가 16부작 드라마는 32부작이 됐고 예능 프로그램들은 1, 2부로 나뉘었다. SBS가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에 이어 ‘8시 뉴스’에까지 PCM(Premium Commercial Message) 도입을 예고하면서 유사중간광고 형태로 프로그램을 쪼개 끼워 넣는 PCM이 다시 한번 미디어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SBS가 ‘8시 뉴스’에 PCM을 “8월 3일부터 도입 예정이었지만 광고 판매 사정이 여의치않아” 가을개편부터 적용하기로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문화연대, 서울YMCA 시청자시민운동본부, 언론개혁시민연대, 한국여성민우회 등 시민사회단체를 비롯한 신문협회 등이 반대성명을 발표하며 반발했다.

신문협회는 지상파의 PCM에 대해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를 금지하고 있는 현행 방송법의 취지에 역행하는 편법 행위”라며 “방송통신위원회가 제재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이어 방송통신위원회에 “입법 미비로 인한 지상파 방송의 편법행위를 강력히 규제하는 한편, 편법을 조장하고 있는 현행 방송법령을 개정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SBS는 ‘8시 뉴스’ 이전에 드라마 ‘스토브리그’ 한회 분량을 3개로 쪼개 PCM을 도입해 비난받기도 했다. PCM과 지상파의 중간광고 도입 문제는 SBS의 ‘스토브리그’ ‘8시 뉴스’ 이전부터 논란을 빚어 왔다. 지상파가 유일한 미디어로 군림하던 미디어환경에서 케이블TV, IPTV,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 모바일TV 등 새로운 미디어가 출범할 때마다 갈등으로 불거진 사안이기도 하다.

공공재인 전파를 사용하고 있는 지상파는 현행 방송법상 중간광고가 금지돼 있다. 기득권을 가졌던 지상파와 이제 시작하는 뉴미디어 간의 균형발전을 위해 조치였다. 문제는 케이블TV, 종편, IPTV, 모바일 및 인터넷TV, OTT 등 뉴미디어들이 지상파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불거졌다. 

 

이에 지상파만 존재하던 때와는 달리 채널과 미디어가 다양화, 최첨단화되고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광고’를 수익기반으로 한 지상파는 ‘비대칭 광고규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높여 왔고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위주로 유사중간광고 형태인 PCM을 도입해 왔다.

SBS 역시 종편, 케이블TV, OTT 등의 매체들에 비해 “현저하게 불리한 광고제도”를 언급하며 ‘8시 뉴스’ PCM 도입에 대해 “이 같은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일환으로 합법적으로 도입해 시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편법광고’라는 주장에 반박했다.

 

Talk20200731


하지만 미디어 전문가들은 드라마, 예능 등과는 달리 ‘공정성’ ‘사실성’ ‘신뢰성’ 등을 바탕으로 해야 하는 보도 관련 부문의 PCM 도입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보도 프로그램의 PCM 도입은 광고주와의 분리, 실제 내용의 독립성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좀체 커지지 않고 제자리걸음 중인 미디어광고시장 규모도 문제다. 한쪽으로 광고가 몰리면 다른 한쪽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악순환은 꽤 오래 앓아온 한국 미디어산업의 고질병이다. 더불어 초연결사회로 진입해 글로벌화되면서 해외 사업자와 국내 사업자의 규제 불균형, OTT 등 신규 미디어의 급부상에도 정통매체들을 대상으로 한 규제 불균형 등도 해결돼야 할 문제다.

더불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변수를 만나면서 지상파는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목도 중이기도 하다. 그간은 TV시청시간과 광고수주는 비례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에 의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TV시청시간은 늘었지만 광고는 감소하는 현상이 오래도록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문제의 원인은 산업 내에 존재한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도 좀체 늘지 않은 미디어광고시장, 이를 두고 벌이는 제로섬 게임의 악순환을 겪는 산업구조, 수익 다변화 및 자구책 마련을 위한 노력보다는 기득권과 매체력만을 믿고 미디어 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한 지상파 및 정통미디어들의 안이함,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춘 규제 및 균형 정책 수립에 소홀했던 관계부처 및 정부 등 모두의 문제인 셈이다.

결국 문제의 이상적인 해결법은 각 매체가 저마다의 근본적인 수익구조 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상적인 제도를 만들기 전 정부차원의 관심이 시급한 때”라고 한목소리를 낸다.

코바코의 강신규 박사는 “지상파, 신문, 케이블TV, 종편, IPTV, OTT 등 각종 매체와 시청자 등 주체별 정확한 실태 파악이 우선돼야 한다. 이를 통한 사회적 합의, 가능한 정책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결국 제일 중요한 건 시청자들이다. 시청자들의 의견을 잘 수렴해 적정선을 맞춰가야 할 것이다. 방송사의 수익과 시청자 복지 사이의 균형 맞추기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방송사는 시청자 복지를 최우선으로 해야 하고 정부는 사회적 합의 도출과 미디어 광고 시장 키우기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지원해야할 때”라고 조언했다.

허미선 기자 hurlki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