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경제일반 > 통상

무역협회,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으로 中 진출장벽 낮춰야"

입력 2019-02-18 13: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info_중국 서비스 시장 5대 유망 진출 분야
중국 서비스 시장 5대 유망 진출 분야(한국무역협회 제공)

 

우리 기업들이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한중FTA(자유무역협정)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통해 양국 교역의 개방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혀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8일 발표한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 유망 분야와 수출 전략’에 따르면 중국은 현지 기업 합자 규제, 지적재산권 등 법적 보호장치 미비, 해외 콘텐츠 허가 및 상영 규제 등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42개국 가운데 인도에 이어 두 번째로 서비스 분야의 해외자본 진입 제한이 높은 국가다.

의료 및 헬스케어의 경우 중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합자형태 진출만 가능하다. 중국 내 7개 도시에서 외국 자본이 단독 투자한 병원을 설립할 수 있지만 의료 분야는 인증·허가 때문에 우리 기업의 단독 진출이 불가능하다.

이러닝 분야는 외국인 투자 혹은 외국기업의 중국 기업 합작 등에 관한 규정이 미비하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중국 전자상거래법’은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활동에 규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문화콘텐츠 분야는 대외 개방도가 낮고, 해외 콘텐츠 유입을 정부가 막고 있어 우리 기업의 진입장벽이 유독 높다. 중국은 자국 문화콘텐츠 진흥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산업 보호, 체제 안정 측면에서 해외 콘텐츠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제작방식과 유통채널을 변경하거나 중국 유통사에 의존하는 간접진출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수출기반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중국에서 인기가 높은 한국 프로그램의 포맷 무단 도용이 급증하고 있으나 법적 보호장치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것도 문제다.

관광 부문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제재 이후 여전히 한국 관광에 대한 제한이 남아 있고, 디자인은 법적 보호에 한계가 있어 우리 기업의 중국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전략시장연구실의 심혜정 수석연구원은 “전 세계가 중국 서비스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지만 규제장벽이 높아 외국 기업의 진출이 쉽지만은 않다”며 “지난해 한중이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개시한 이래 연내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네거티브 방식 채택, 최혜국 대우 적용 등 중국이 폭 넓은 개방에 이를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길준 기자 alfi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