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Health(건강) > 생활건강

[비바100] 발바닥이 찌릿찌릿?…방심하면 악화되는 '족저근막염' 원인과 예방법

입력 2018-12-04 07:00 | 신문게재 2018-12-04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18120334
(사진출처=게티이미지)
 

아침에 일어나 발뒤꿈치 쪽이 아프다거나 조금만 걸어도 발바닥에 통증이 느껴지고 일어설 때 찌릿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족저근막염’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을 싸고 있는 단단한 막으로, 스프링처럼 발바닥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아치(발바닥에 움푹 패인 부분)를 받쳐주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등산이나 하이힐을 자주 신는 경우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은 잠시 나타나다 사라지는 특징이 있어 증상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주의사항들을 의료진들에게 직접 들어봤다.


◇족저근막이란

족저근막이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앞쪽까지 이어지는 근막으로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보행 시 생기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에 무리를 주거나 과도하게 사용 시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족저근막염’이라고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족저근막염 환자는 22만 명에 달했다.

발생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해부학적 요인으로는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평발이거나 지나치게 높은 요족 변형이 있는 경우, 혹은 종아리 근육이 짧아 발목관절이 위로 꺾이지 않는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다. 증상은 조금만 걸어도 발바닥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일어설 때 찌릿한 증상이 지속되는 발뒤꿈치 통증이 대표적이다. 오랫동안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또는 장기간 보행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고 딱딱한 신발을 신었을 때 증상이 악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부학적 요인보다 더 큰 원인은 주로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된다.  

 

현대백화점
여성들의 하이힐 또는 부츠가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합)

 

◇등산·하이힐 주의해야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가장 흔히 겪는 부상 가운데 하나가 바로 ‘족저근막염’이다. 등산을 자주 하는 사람들에게 족저근막염이 자주 생기는 이유는 족저근막이 평지에 있을 때보다 산을 오를 내릴 때 더 많이 늘어나 쉽게 피로함을 느끼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자주 애용하는 굽 높은 부츠나 하이힐은 착용 시 발바닥의 특정 부위에만 무게를 실리게 되어 오랜 시간 신고 있으면 발바닥에 지속적으로 긴장과 자극을 준다. 특히 부츠는 일반적인 신발보다 무겁고 움직임이 불편해 발과 발목, 발등 근육에 무리를 준다. 특히 굽이 높고 종아리 전체를 조이는 롱부츠의 경우에는 근육과 발가락뼈를 압박하여 넓적다리 근육과 발바닥에 까지 악영향을 준다.

반대로 굽이 거의 없는 어그부츠의 경우에는 바닥이 평평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이 없기 때문에 발바닥에 고스란히 자극이 전달된다. 그만큼 족저근막염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고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김학준 교수는 “과거에 비해 족저근막염 환자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상대적으로 덜 걷게 되면서 발의 근력이 저하된 것”이며 “굽이 너무 높거나 반대로 너무 낮은 신발을 오래 착용하여 발바닥의 무리를 주는 경우 그리고 과체중일 경우에도 걸을 때마다 뒤꿈치에 충격이 많이 가해져 족저근막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주의사항

족저근막염의 증세가 가벼울 경우는 1~2주간 안정을 취하고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며, 족저근막 스트레칭 등을 해주면 쉽게 완치될 수 있다. 또한 산이나 하이힐을 신고 오래 걸은 후에는 캔 음료 등을 차갑게 만든 후 발바닥 아치부분에 대고 문질러 주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 족저근막염은 치료만큼 예방과 재발 방지가 중요하다. 종아리 근육이 뭉치지 않도록 자주 마사지를 해주며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바닥이 딱딱한 신발과 체중이 앞쪽으로 쏠리는 하이힐과 같은 굽 높은 신발을 피하는 것이 좋다. 오랜 시간 걷거나 서있던 후에는 발바닥 근육 이완을 위한 캔이나 페트병 등을 이용해 발바닥 안쪽으로 굴리며 마사지를 하는 것도 족저근막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만성일 때는 산행 횟수를 줄이고 족저근막과 종아리 부위의 스트레칭을 꾸준히 실시해주는 동시에 발목근력훈련을 함께 해주는 것이 좋다. 아침에 계속 통증을 느끼거나, 스트레칭을 계속 하는데도 별다른 효과가 없다면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김 교수는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며 “운동을 할 때에는 쿠션이 충분한 신발 착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노력에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족부 전문 의사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