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치일반

감사원, 23조 들인 4대강 사업 “경제성 없었다” 판단

입력 2018-07-04 18:08 | 신문게재 2018-07-05 2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이명박 정부가 추진했던 4대강 사업에 대해 감사원이 사업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 ‘형편없게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감사원은 서울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4대강 사업 경제성을 분석한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실태 점검 및 성과분석 결과’를 4일 발표했다. 감사원은 50년간의 총비용은 31조원인 반면, 총편익은 6조6000억원에 그쳐 경제성이 매우 낮은 사업이었다고 결론 지었다.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1.0을 넘으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4대강 사업은 0.21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분석 기간 중 홍수가 없어 홍수예방 편익이 ‘0원’으로 처리된 점을 고려하더라도 매우 기대에 못 미치는 수치다.

감사원에 따르면 4대강 사업에는 기존에 계획했던 22조2000억원보다 8000억원 가량이 늘어난 23조675억원이 투입됐다. 2013∼2016년 4년치 자료를 기초로 2013년부터 50년 간의 총비용과 총편익을 추정해서 분석한 결과, 총비용은 사업비 24조 6966억원, 유지관리비 4조286억원, 재투자 2조3274억원 등 31조원 규모로 나타났다. 총편익은 수질개선 2363억원, 이수(수자원 확보) 1조486억원, 친수 3조5247억원, 수력발전·골재판매 1조8155억원 등 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의 가장 큰 효과로 홍수피해 예방(치수)과 수자원 확보(이수)를 내세웠지만, 분석 결과 법정 치수안전도 미확보 구간은 4대강 사업 전에 127.7㎞였으며, 사업 후에도 53.7㎞ 구간은 여전히 치수안전도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 사업으로 홍수 위험이 줄어든 구간은 74.0㎞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또 4대강 사업은 2020년 기준으로 전국의 생활·공업·농업용수 등 물 부족량 중 4.0% 정도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됐다. 물 확보지역과 부족지역의 불일치로 인해 4대강 사업으로 확보한 물이 본류 주변에서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대한환경공학회가 분석한 수질 조사 결과에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과 클로로필-a(조류농도)의 경우 개선된 곳과 악화한 곳이 섞여서 나타났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대체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BOD는 16개 보 가운데 6곳은 개선되었고, 3곳은 악화되었다. 클로로필-a는 6곳은 개선되었고, 6곳은 악화로 나타났다. COD는 16개 보 가운데 1곳은 개선되었고, 7곳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동강은 COD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류는 BOD·클로로필-a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영산강도 COD·클로로필-a가 악화됐다. 반면 한강과 금강은 대체로 개선되거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작년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이·치수효과 분석(연세대 산학협력단), 수질평가(대한환경공학회), 경제성분석(서울대 산학협력단)을 외부기관에 의뢰해 진행해 왔다.

김윤호 기자 uknow@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