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Money(돈) > 재무설계

[비바100] 길어진 노후 눈높이 낮아졌다…현재와 노후 균형 맞추기

현재 삶과 노후의 균형 중요 대다수가 소득에 대해 하향평준화
노후기간은 길어지지만 그만큼 눈높이도 낮아져…빈곤한 노후를 길게 유지하게 됨
은퇴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것이 중요…IRP나 연금저축계좌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
"해외투자상품이 장기적으로 좋은 대안이 될 것"

입력 2018-03-20 07:00 | 신문게재 2018-03-20 1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이미지-005

 

겨울을 대비해 열심히 일하는 개미와 일은 안 하고 노래만 부르는 베짱이가 있다. 개미가 “추운 겨울에 행복하기 위해서는 힘든 여름의 고통을 이겨내야 한다”고 말하자, 베짱이는 “현실이 괴롭다면 미래의 행복이 무슨 의미가 있냐”고 반문한다.

노후의 행복을 위해 개미처럼 현재의 어려움을 견디며 사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먼 미래를 준비하기보다는 현재 삶의 만족을 중요시하는 베짱이 같은 사람들도 있다. 어느 한 쪽에 치우친 삶보다는 현재와 미래에 대한 균형 잡힌 삶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현실의 삶이 팍팍하다는 이유로 미래를 외면하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현실 문제에 급급해 균형 잡힌 삶을 포기하면 미래에 반드시 그 대가가 돌아오기 마련이다. 이런 상황을 들여다보기 위해 현재 삶과 노후 삶의 균형을 위해 총 15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소득수준별 경제생활과 노후준비 실태를 들여다본 결과, 적절한 삶의 균형을 찾는 것이 가장 시급했다.


◇중산층 응답자 절반 “난 빈곤층”


‘당신은 어떤 계층입니까’라는 계층 인식을 물어본 결과 중산층의 경우 절반 이상인 55.7% 가 스스로를 빈곤층이라고 대답했다. 고소득층의 경우에도 4명 중 3명꼴(75.4%)로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평가했다. 심지어 자신을 빈곤층이라고 생각하는 고소득층도 22.3%나 됐다. 계층에 대한 하향 인식은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계층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났다. 대다수가 경제적인 계층을 절대적 기준보다는 상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국민 대다수가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금융자산의 약 50%를 예·적금 등 안전 상품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상품의 경우 빈곤층이나 고소득층보다 중산층에서 그 비중이 조금 더 높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저축의 목적으로는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노후대책’이 1순위로 꼽혔다.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노후대책’ 선택 비율은 급상승했고, 고소득층에서는 71%로 압도적이었다. 노후대책의 다음 순위는 ‘주택자금’으로 중산층에서 선택 비율이 높았다. ‘자녀교육’ 역시 중산층에서 선택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빈곤층의 경우에는 다른 소득계층보다 ‘부채상환’ 선택비율이 높았다.

 

 

12면_소득수준별예상노후생활기간

 


◇희망 노후생활비용 감소

2017년 예상 노후생활 기간은 빈곤층 20.2년, 중산층 23.2년, 고소득층 24.9년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 기간은 기대수명에서 예상 은퇴연령을 차감한 값으로 구하는데, 기대 수명과 예상 은퇴연령이 모두 낮아졌으나 은퇴연령이 더 많이 낮아지면서 노후생활 기간이 증가했다.

노후생활 기간이 늘어났지만 사람들의 노후생활 눈높이는 낮아지고 있다. 빈곤층과 중산층의 경우 희망 월 노후생활비가 2016년 대비 7만원씩 감소했다. 고소득층의 경우 18만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이 줄었다.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갈수록 팍팍해지는 노후 생활을 전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적극적으로 노후 자산을 늘리기보다는 생활비를 줄여 노후 생활에 대비하려는 모습이 반영됐다. 모든 계층에서 주된 노후준비 방법으로 예·적금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는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이 뒤를 이었다. 전반적으로 노후 준비에는 매우 안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아울러 사적연금과 부동산, 금융투자 등을 통해 추가적인 노후 준비를 하는 비율은 소득에 비례했다.


◇노후준비의 지름길 ‘연금’

100세 시대를 맞이해 꾸준한 연금자산 관리는 안정적인 노후 준비의 지름길이다. 부족한 노후 준비에 대한 고민이 된다면 다음과 같은 노후준비 개선 전략을 추천한다.

우선 노후준비 기간을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 늦게까지 일하는 것이다. 은퇴 시기를 최대한 늦춰 준비 기간을 더 길게 확보하면 그만큼 노후준비가 충실해질 수 있다. 또한 일에 대한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개인퇴직연금(IRP)에 정기적으로 추가 납입해 부족한 연금자산을 보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IRP는 세액공제 혜택이 있고 인출도 제한적이어서 다른 목적자금으로부터 지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노후를 위한 별도 금융자산이 있다면 연금저축계좌로 관리할 수 있다. 향후 여유자금이 발생해도 일정 부분을 연금저축계좌에 적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금저축계좌는 입출금이 자유로워 다른 목적자금 활용에도 특별한 제약이 없다.

김진웅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연구위원은 “IRP나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장기투자 개념이기 때문에 신흥국을 중심으로 하는 해외 투자를 추천한다”며 “장기간 분산투자 및 적립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중 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해외투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투자하게 되면 배당소득세로 과세된다”며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이익분에 대한 과세도 30% 이상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해외투자의 경우 국내주식투자처럼 단타 매매가 어렵기 때문에 연금과 같은 장기투자 상품으로도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