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Leisure(여가) > 영화연극

[비바100] 영화 '군함도' 강제 1000만 만들기? 스크린 독과점 VS 수요에 따른 시장논리

'군함도' 2236개 스크린, 80%가 넘는 시장 점유율
스크린 독과점은 오래전부터 문제로 지적됐지만 제자리걸음
영화에 대한 관객 기대감은 사실, 하지만 정도가 지나쳐

입력 2017-07-28 07:00 | 신문게재 2017-07-28 1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Untitled-5

 

“강제 1000만(관객) 만들기냐”


영화 ‘군함도’가 26일 개봉하자마자 부정적 여론에 휩싸였다. 그 이유는 ‘스크린 독과점’에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는 개봉일 2000개가 넘는 스크린을 확보했다. 전체 스크린의 약 80%에 해당하는 수치로 첫날 관객수는 97만 1563명에 이른다.

CJ CGV, 롯데시네마 등 영화 투자부터 제작, 배급까지 총괄하는 대기업의 스크린 독과점은 오래전부터 지적됐다. 역대 최고 흥행기록을 세운 ‘명량’이 대표적 사례다. 2014년 개봉한 ‘명량’은 1159개 스크린에서 개봉해 이후에도 꾸준히 상영관수를 유지하며 누적관객 1761만명으로 역대 최고 흥행 왕좌에 등극했다. 같은 해 공정거래위원회는 극장 대기업 수직계열화 문제를 지적하며 시정명령을 내렸지만 현재까지 바뀐 것은 아무 것도 없다.

 

movie_image
영화 '군함도'.(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군함도’로 스크린 독과점 문제가 또다시 불거진 배경에는 정부와 기업의 대립이 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여기엔 배급·상영 겸영 금지와 동일 영화의 상영 비율 제한, 독립영화 의무 상영 등이 포함됐다. 공정위도 지난달 1일 대기업의 수직계열화에 따른 영화산업 폐해를 분석하는 내용의 연구용역을 체결했다. 스크린 독과점에 칼을 대는 준비 작업이다.

하지만 CGV 서정 대표는 여기에 직접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지난 18일 용산 CGV에서 열린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서 서 대표는 “배급과 상영을 겸하는 것을 대기업 수직계열화라며 규제해야 한다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정말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지 반문하게 된다. 영화산업 종사자들이 공론의 장을 거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한국 영화산업은 규제의 틀 속에서 위축될 것인지 아니면 글로벌로 갈 것인지 기점에 서 있다”고 덧붙였다. 

Untitled-8


일제의 조선인 강제 징용을 다룬 ‘군함도’는 제작단계부터 화제를 모았다. 영화 ‘국제시장’, ‘베테랑’으로 두 번이나 1000만 영화를 만들었던 배우 황정민이 주연으로 출연했다. 여기에 오랜만에 스크린 복귀한 소지섭, ‘태양의 후예’로 한류스타로 자리 잡은 송중기까지 주연으로 가세했다. ‘부당거래’, ‘베테랑’의 류승완 감독 작품이란 점도 관객의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영화를 향한 관객의 기대감만큼은 진짜다. ‘군함도’ 홍보 관계자는 “독과점은 관객이 원하지 않는 영화를 억지로 미는 것이다. 하지만 ‘군함도’는 다르다. 관객이 영화를 많이 찾는 증거가 실제 예매율과 점유율이다. 관객의 수요에 따라 관을 잡았다”고 이야기한다. 

 

2017072600020125258
영화 '군함도'를 보려고 대기 중인 관객들.(연합)

 

영화의 화제성은 사실이지만 상식을 넘는 스크린수는 분명한 문제로 지적된다. 정지욱 영화 평론가는 ‘독과점이 아니라 폭력’이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그는 “마치 전국 80%가 넘는 가게에서 똑같은 라면만 파는 모양새다. 소비자의 입맛을 완전히 무시했다. 음식도 이런데 문화로 분류되는 영화가 이 꼴이다. 관객의 취향을 완전히 배제한 폭력과 같은 행위”라며 “특히 CJ는 문화를 이끄는 기업이라고 늘 이야기한다. 그런데 스스로 문화라고 말하는 영화를 잘못된 시장의 논리로 이끌고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린 독과점은 한국 영화를 망하게 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공정위 한 관계자는 “(정부가 기업의 불공정거래에 칼을 빼 든) 현시점에서 특정 기업을 언급하며 사업을 규제해야한다 말하는 건 조심스러운 부분이다. 그 언급 자체가 또 다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을 아꼈다.

 

김동민 기자 7000-j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