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꼰대의식·진영논리 낡은 프레임 버리고 화합의 새틀 짜자

[2017 신년기획] '4不 탈출' 돌파구를 찾아라

입력 2017-01-05 07:00 | 신문게재 2017-01-05 2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안국역인근탄핵반대집회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진 청년들은 이 시대의 ‘불통’(不通)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이들이 생각하는 불통의 정체성을 알기 위해 브릿지경제 기자 3명은 거리에서, 캠퍼스에서, 학원가에서 이들과 소통(疎通)을 시도했다. 본지 기자들이 만난 청년은 어디서든 볼 수 있는 대학생 등 20~29세 사이의 남녀 청춘들이다. 이들에게 물어본 것은 단순했다. 불통의 원인과 문제, 대안 뿐이었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불통’은 무엇일까. 이들이 꼽은 불통의 가장 큰 문제는 ‘세대 간 불통’이었다. 대화의 장벽이 세대와 세대를 가로막아 불통을 낳고 있는 것이다. 어수선한 시국 탓인지 ‘정치인들과 국민들의 대화 단절’, ‘기성세대의 고착화된 관념’ 등을 불통의 원인이라 지적한 의견도 적잖았다.

지난해 대한민국 국민을 자괴감의 늪에 빠트린 ‘최순실 국정농단’도 결국은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이 낳은 비극이라는 것이 이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이들은 또한 ‘정치권의 이권 다툼’, ‘경기 침체’, ‘기득권 중심 사회’ 등도 불통사회의 원인으로 여기고 있으며, 앞으로 ‘세대 간 이해’와 ‘SNS’ 등 다양한 소통창구로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가능한 ‘공정한 사회’가 되길 희망했다.

대학생 김정준(24)씨는 “정책시행, 조세편입 등 민간부문의 의사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박 대통령 등 책임있는 사람들의 ‘책임회피’가 불통의 대표적인 예”라고 말했다.

이민지(27·여)씨는 “기성세대들이 먼저 이른바 ‘꼰대’ 마인드를 버려한다”며 “‘너희들 고생은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 때는 말이야…’ 등의 마인드를 버리지 못하면 한국 정치와 경제에서는 대화의 장(場)을 펴기가 어렵고 결국은 지금처럼 불통의 절벽에 서있게 될 것”이라 우려했다.

과연 ‘촛불집회’는 이성과 상식, 공감대가 활발히 교류하는 대화의 한마당이었을까. 다는 아니지만 일부 청년들은 ‘촛불집회’가 대한민국의 ‘소통 가능성’을 잘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어떤 청년은 ‘집단지성’의 ‘무언의 소통’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또한 이번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에서 박영선 의원의 질문이 소통을 바탕으로 한 인상 깊은 장면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불통사회가 되어버린 이유에 대해서는 ‘정치인들의 불통’이 가장 크다고 답했으며 ‘기득권 중심 사회’, ‘책임의식 부족’, ‘경기침체’ 등이 원인이 돼 ‘세대간의 소통 단절’과 ‘서로에 대한 무관심’으로 흘러갔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교육의 문제가 불통사회의 원인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안효찬(29)씨는 “어렸을 때부터 시험과 성적에 연연하며 경쟁에서 이겨야 돈을 많이 벌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다는 교육이 가장 큰 문제”라며 “소통과 배려없는 한국사회 문제의 원인은 인성교육의 부재”라고 꼬집었다.

불통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열린 생각’, ‘세대간 존중’, ‘진보와 보수의 이해’ 등이 이들이 생각하고 있는 소통의 대안이었다. △정부-청년-기성세대들이 소통할 수 있는 소통창구 마련 △청년들의 적극적인 선거 참여 △기성세대들의 권위주의 의식 버리기 △역지사지(易地思之) △기성세대 적극적인 SNS 활용 등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대학생 강지훈(23)씨는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에서 한 야당 국회의원의 SNS소통을 예로 들며 “국민과 카카오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자료를 전달받고, 검증을 통해 질문을 했던 모습이 상당히 인상깊었다”며 “국민과 소통해야 할 박 대통령이 최순실이라는 특정인 하고만 소통했기에 벌어진 참사와 대비되는 모습”이라 했다.

청년들은 ‘거짓없는 화합·신뢰의 사회’를 꿈꾸고 있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며 개인의 주장을 자유롭게 펼치고 들어줄 수 있는 소통사회의 모습이다.

조진욱(23)씨는 “사회 전체가 하나의 프레임에 갇혀있고 정치권 역시 스스로의 잘못을 청년과 노년의 세대 갈등이 이념 갈등 프레임으로 몰아간다”며 “낡은 프레임을 깨고 정치, 사회 모두 자연스럽게 얘기할 수 있고 건전한 토론이 가능한 소통사회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민석(28)씨는 “기본적인 소통사회는 의사표출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수직적 국내 기업문화는 쉽지 않다”라며 “학교, 기업, 정치 등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수평적 변화로 많은 사람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된 다양한 정책들이 나오는 대한민국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