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IT · 모바일 · 방송통신

알파고 첫승… 인공지능(AI) 진화는 어디까지 가능할까?

입력 2016-03-09 18:16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인간두뇌의 고유영역으로 여겨졌던 바둑세계가 인간이 만든 기계에 무너졌다.

9일 이세돌 9단과 구글 인공지능(AI) 알파고의 첫 대국에서 이세돌 9단이 대국 시작 3시간 30여분 만에 돌을 던지며 승리는 알파고에 돌아갔다. 당초 5대 0 승리의 자신감을 내비쳤던 이세돌 9단이 한 판을 먼저 내준 것이다.

이날 대국 결과는 AI의 놀라운 기술 향상 속도를 증명했다. 알파고는 지난해 10월 유럽 챔피언 판후이 2단과 맞붙을 당시와는 비교할 수 없이 향상된 기력을 전세계에 과시했다. 당시 알파고의 기력에 대해 이세돌 9단은 “프로기사 정도는 아니고 아마추어 최고 수준”이라고 평한 바 있다. 그런 알파고가 5개월만에 프로 9단을 꺾은 강자로 부상한 것이다.

핵심은 ‘신경망’이다. AI가 바둑에서 인간을 꺾을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의 근거였던 ‘직관 부족’ 문제를 돌파하기 위해 인간의 직관을 모방하는 데 나섰다.

알파고는 두 개의 신경망을 통해 가장 승률이 높은 다음 수 몇 가지를 골라낸다. 기존 AI가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데 비해 알파고는 선택지를 좁혀 판단을 내린다. 알파고 개발을 주도한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지난 8일 간담회에서 “구글의 목표인 범용 AI는 유연함, 적용가능성, 창의성이 특징”이라며 “인간의 학습과정과 유사하게 스스로 학습과 시행착오를 거쳐 기존 AI의 한계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대국에서 보여줬듯이 인간영역의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AI 기술의 상용화는 예상외로 빠르게 진화될 전망이다.

AI는 구글이 집중하고 있는 무인자동차의 두뇌 역할을 한다. AI가 인간만큼 사고할 수 있다고 인정받는 성과를 내면, 관련 규제를 허물고 정식 서비스 론칭을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데미스 하사비스 CEO가 밝혔듯 AI의 강점은 “절대 지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알파고는 인간으로 치면 1000년이 걸리는 분량의 대국 데이터를 학습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대한 학습량과 인간을 압도하는 학습 능력에 ‘머신 러닝’ 기능을 접목해 기술 향상에는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머신러닝 기술은 프로그램이 스스로 학습을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입력된 정보 외에 새로운 문제가 주어져도 해결하는 경지를 목표로 한다.

머신러닝을 통해 사물을 집는 로봇팔 연구 등에서 정확도를 높이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아직 과제는 남아 있다.

구글 리서치팀을 이끌고 있는 구글의 제프 딘 선임 연구원은 “AI의 한계는 신경망 구조 자체를 스스로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이라며 “인간의 뇌는 어떻게 사고하느냐에 따라 특정 부위를 고도화할 수 있다는 고유의 특징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구글은 AI 스스로 자신의 신경망의 크기와 연결된 형태도 바꿀 수 있는 유연함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AI 분야의 비전이 ‘지능 분석’과 ‘인류에 대한 기여’라고 밝혔다.

김진희 기자 geni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