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자동차

현대차, 삼성동 한전부지 개발 속도 낸다… 최종 제안서 제출

입력 2015-06-23 18: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브릿지경제 이혜미 기자 = 현대차그룹이 10조 5500억원에 사들인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개발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허가를 쥐고 있는 서울시와 강남구가 개발 과실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어 사업속도에 변수가 되고 있다.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은 23일부터 한국전력 부지 개발을 놓고 본격 사전협상에 돌입했다. 서울시는 이날 현대차그룹이 ‘한전부지 개발구상 및 사전협상 제안서’를 보완·제출함에 따라 본격적 사전협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올해 1월 말 첫 개발 제안서를 제출했지만 서울시가 그동안 수차례 보완을 요구하면서 지난 11일 5개월만에 최종 제안서를 제출했다.

개발구상(안)

현대차그룹의 서울 강남 한전부지 개발계획 조감도.(사진제공=현대차그룹)

 

 


◇서울시·현대車 사전협상 돌입

제안서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한전 부지에 지상 115층(높이 571m·용적률 799%)짜리 사옥을 짓겠다는 당초 계획을 유지했다. 이는 현재 국내 초고층인 잠실 롯데월드타워를 16m 웃도는 국내 최고층 규모. 세부적으로는 통합사옥을 포함해 △전시·컨벤션센터 △공연장 △숙박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전망대 등을 조성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신사옥 건설로 총 262조 6000억원의 생산 유발과 132만 4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시는 오는 10월까지 현대차그룹과 한전부지 개발계획에 대한 사전협상을 마무리 짓고 부지 감정평가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에 현대차가 내게 될 공공기여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1년 새 옛 한국전력 부지의 공시지가가 30% 넘게 오른 가운데 평가 주체마다 금액이 달랐기 때문이다.

이곳의 지난해 개별 공시지가는 약 1조 5456억원(1㎡당 1948만원)이지만, 같은 해 8월 한전이 실시한 감정평가 금액은 3조 3346억원이었다. 한전의 경우 서울시 개발계획대로 부지 용도가 주거에서 상업지역으로 바뀔 것으로 보고 가치 상승분을 미리 반영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24일 발표한 이 땅의 표준지 공시가격은 한해 전보다 32.4% 오른 2조 470억원(1㎡당 2580만원)이지만 이 역시 용도지역 변경을 고려치 않아 한전의 자체 감정가보다 1조원 이상 낮다.

현재 옛 한전 부지는 96%가 3종 일반주거지역, 4%가 일반상업지역으로 이뤄졌다. 앞서 현대차는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된 한전부지를 일반상업지구로 용도변경하기 위해 부지감정가의 36.75%(공공기여율), 약 1조7030억원을 공공기여금으로 서울시에 내겠다고 제안했다.


◇서울시와 강남구의 갈등

그러나 한전부지 개발이 급물살을 타려면 만만치 않은 변수를 극복해야 한다. 지난달 서울시가 기존 코엑스와 한전부지 일대에 국한해 계획했던 개발 계획을 ‘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 국제교류복합지구 조성계획’으로 전면 수정하겠다고 나서면서 강남구와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강남구 측은 현대차그룹이 서울시에 제공하는 ‘공공기여금’을 교통량 증가 등 피해로 이어질 한전부지 인근 개발에 우선 사용해야 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원칙을 고수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강남구 관계자는 “머잖아 강남구는 서울시에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 확대 계획에 대한 무효·취소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면서 “강남구도 기존의 입장을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이는 한전부지 지하 변전소 이전 작업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계획한 115층 규모의 건물을 지으려면 옛 한국전력 별관부지 지하에 위치한 삼성변전소를 부지 가장자리로 이전해야 하는데 인허가권을 쥔 강남구가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는 것.

강남구가 발주한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사업도 한전부지 개발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부터 2호선 삼성역까지 영동대로 650m·4만5500㎡ 구간 지하를 교차하는 최대 8개 철도시설과 국제교류복합지구를 연계개발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GTX·KTX 노선 사업 등이 모두 중앙정부와 지자체 등으로 ‘개별 단위’로 진행돼 교통난과 중복사업으로 인한 예산낭비가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개발 완료까지 최대 10년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