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헬스 > 보건복지

[종합1]WHO, "메르스 사태 종식 수주 걸릴 듯"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 열어놓고 모니터링 해야"

입력 2015-06-13 14:35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케이지 후쿠다 WHO  사무차장, '한국의 메르스는'
한국-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평가단 공동단장인 케이지 후쿠다 WHO 사무차장이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평가단 활동결과 기자회견에서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오른쪽은 공동단장인 이종구 서울대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센터장. (연합)

 

브릿지경제 권성중 기자 = 메르스 사태가 종료되기까지 수주가 걸릴 것이며,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는 중동지역의 것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한국-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은 13일 국내 메르스 확산 사태와 관련, 국내 메르스의 역학적 양상은 중동지역의 메르스와 다르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의 변종 가능성에 대해서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로 변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환경오염이나 열악한 환기시설, 또는 기타 다른 요인들이 이번 메르스 유행에서 바이러스 전파에 유행을 미쳤는가의 여부는 확정적으로 판단을 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합동평가단은 특히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면서 “다만 메르스 유행이 진행되는 동안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WHO 측 대표인 케이지 후쿠다 사무차장은 “한국의 메르스 발병 규모가 크고 양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환자 발생은 예상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본 상황이 완전히 종결될 때까지 경계태세를 유지해야 하고 강화된 질병통제, 감시 예방조치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특히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수주가 걸릴 것”이라며 “단기간에 해결될 것을 예상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국 측 이종구 단장(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도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증가하던 환자 추세가 주춤하거나 꺾이는 양상으로 방역조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그 역시 “다만 완전히 종료됐음을 선언하기는 이르고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8일 입국한 WHO측 조사단은 9일부터 닷새동안 국내 메르스 전파 원인과 양상 등을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조사했다.

권성중 기자 goodmatter@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