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llenge(창업‧창직)

사회적 기업, 사업 유형별 맞춤 지원 절실

지방 위치한 교육·문화예술관광운동 분야 실적 저조
고용부 사회적기업과 “유형별 맞춤형 지원 검토 중”

입력 2014-10-12 08:4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사회적기업에 대한 일괄지원이 아닌 사업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 의원실은 지난달 9월 25일 사회적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2012년 기간) 사회적 기업 경영공시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시 기준으로 사회적 기업 5곳 중 4곳이 적자일 정도로 경영상황이 좋지 않다”며 “일괄적인 지원은 효율성이 떨어지고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유형별 맞춤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올 9월 현재 사회적 기업 인증업체는 1165개사로,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 470여개사가 집중돼 있다. 사회적 목적 유형별로 보면 일자리제공형이 795개사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서비스 분야별로는 환경, 문화, 사회복지, 간병가사, 교육이 621개사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사회적 기업 중 경영공시를 한 81개사의 2012년 영업이익률을 보면 지역별, 서비스 유형별 실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청소용역업체와 문화예술관광운동업체, 전북에 위치한 신소재개발·세정제·바이오식품업체의 영업이익률은 10~17%로 사회적 기업 중 최상위권에 속했다. 반면 지방에 위치한 교육, 문화예술관광운동 분야의 사회적 기업은 영업손실률이 100%를 넘어설 정도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들이 모인 자리에서는 사업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오고간다. 사회적 기업 떡찌니 석지현 대표는 “사회적 기업 모임에 가면 사업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면 좋겠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며 “일괄 지원이 아닌 사업 유형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을 담당하는 주관부서인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과도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이철우 사회적기업과장은 “기업 유형별 특성에 맞게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며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고 유형별로 지원할지에 대한 정책 검토는 더 구체적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차종혁 기자 ch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