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nce(재취업)

평생직장 틀 깨야 평생현역 보인다

'당신도 언젠가 실업자…' 미래 미리 준비를
베이비부머 "평생직업 無" 업종 바꾸는 '전직' 늘어

입력 2014-10-05 09: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전직

 

 

 

#1. 대학 졸업 후 외국계 유통기업에서 10년간 영업 관리 업무를 해온 양모(38·서울 목동)씨는 지난해 국내 중견기업의 인사관리 담당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기존 업무와는 다른 새로운 일이라 전직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40대 이후 안정적인 삶을 생각해 옮기기로 결정했다”며 “반년이 지난 시점에서 돌이켜보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2. 국내 중소기업에서 사무직으로 일했던 양모(40·서울 논현동)씨는 직장 상사와의 갈등으로 회사를 그만둔 후 새로운 분야에 관심을 갖고 도전했다. 그는 최근에서야 일자리지원센터와 창업센터에서 다양한 전직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지난 4년간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를 찾기 위해 혼자 동분서주하며 보낸 시간을 아쉬워하고 있다. 

1997년 대한민국을 강타한 외환위기로 우리 사회에서 첫 직장이 평생직장이라는 통념은 깨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1997년 우리나라 실업자수는 55만6천명에서 외환위기 이후인 1998년 146만3천명으로 1년새 2배 이상 늘어났다. 대량 해고에 따른 실업률 증가는 ‘나도 언젠가는 실업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키웠고 첫 직장을 평생직장으로 보는 풍토는 사라졌다.

노동시장의 주력인 베이비부머세대(1955년~1963년생)가 본격적인 은퇴기에 접어든 2010년 이후 우리 사회에 또 하나의 큰 변화가 왔다. 외환위기 이후 첫 직장이 평생직장이라는 틀을 깨고 이직(移職)이 확대됐다면 2010년 이후에는 이직 개념의 틀을 깨고 업종을 바꾸는 전직(轉職)을 편하게 받아들이게 됐다.

일자리는 한정돼 있는데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평생현역을 준비하지 않으면 불행한 노후를 보내게 될 거라는 불안감이 만들어낸 변화다.

이같은 사회 불안감은 정부도 감지했다. 지난 9월 24일 정부는 50대 이후 장년층의 고용률 증진을 위한 장년고용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현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 지원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퇴직 후 맞춤형 취업알선을 위한 생애경력카드, 전직을 위한 직업훈련에 대한 이모작장려금제도,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전직지원을 의무화하기 위한 법 개정 등이 세부방안이다.

이전까지 퇴직자에 한해 전직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됐던 점에서 보면 획기적이다. 일자리가 한정돼 있어 기존 고용대책만으로는 베이비부머세대의 대량 퇴직으로 인한 장년층 실업 사태를 해소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다.

고용노동부 김윤태 고령사회인력정책과장은 2일 “막상 퇴직한 후에는 재취업을 위한 일자리정보가 부족하고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를 얻기 위한 훈련이 부족해 원하는 일자리를 얻기가 힘들다”며 “퇴직 후 빨리 원하는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현직 근로자에 대한 전직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5
지난 7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경기남부 제대군인지원센터가 문을 열었다.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이 개소를 축하하며 지원센터 현판을 살펴보고 있다. 경기남부 제대군인지원센터는 국토방위 임무를 수행하다 전역하는 제대군인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진로상담, 경력설계 및 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등 다양한 전직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연합)

 

 

중장년 전직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는 퇴직자들의 참여도가 높아지는 점을 반영해 창업교육, 산학연계 취업, 전문 인력 양성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중앙회 전현호 인력정책실장은 “퇴직한 중장년은 계속 늘어나는데 기존 일로는 재취업이 힘들다보니 새로운 기술을 익혀서 다른 분야로 가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예산 증액 등 전직 지원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은퇴 후 전직에 대한 열망과 도전은 정부 지원만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기업 형태로 전직에 도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희망제작소 배영선 시니어사회공헌팀장은 “일의 개념으로 사회공헌을 펼치고자 사회적 기업에 도전하는 은퇴자들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다만 “장년층이 새로운 도전을 지속적으로 펼치는데 있어 청년층의 활동 참여 부족, 정부지원 미흡 등 사회여건상 뒷받침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차종혁 기자 ch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